본문 바로가기
간호과정,간호진단

[간호과정]질병(심부전)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간호과정(SOAPIE양식)

by Home safety 2025. 3. 17.
반응형

가스교환장애

아래는 ‘심부전(Heart Failure)’ 환자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질병(심부전)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에 대한 간호과정을 SOAPIE 형식으로 정리한 예시입니다. 상황과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구체적인 수치나 정보는 조정하여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1. S (주관적 자료, Subjective Data)

  • 환자가 “숨쉬기 답답하다.”,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찬다.” 등의 호소를 함.
  • 누웠을 때 호흡곤란이 심해져 앉아있거나 상체를 세워야 숨쉬기가 편하다고 말함(기좌호흡).

2. O (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

  • 활력징후: RR(호흡수) 증가(예: 28회/분), SpO₂(산소포화도) 하강(예: 90% 이하)
  • 청진 시 양측 폐에서 수포음(Crackles) 청취
  • 보조근육 사용 및 비정상적인 호흡 양상(호흡곤란 시 얼굴 창백, 빈호흡 등)
  • 심부전 진단 이력: 심초음파에서 좌심실 구혈률(EF) 저하, 심장 기능 감소 소견

3. A (사정/간호진단, Assessment/Nursing Diagnosis)

  • 간호진단: 심부전으로 인한 심박출량 감소와 폐 울혈로 인한 “가스교환 장애(Impaired Gas Exchange)”
  • 관련 요인: 심부전으로 인한 폐정체, 조직 내 산소공급 감소, 폐포-모세혈관 산소교환 저하
  • 특성: 호흡곤란, 저산소혈증, 청진 시 수포음, 환자의 주관적 호흡 곤란 호소

4. P (계획, Plan)

  1. 장기목표: 퇴원시까지 대상자의 폐포 내 산소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져 정상 범주의 산소포화도(예: 92~95% 이상)를 유지하고, 호흡곤란이 완화되어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2. 단기목표:
    • 72시간 이내 산소포화도가 92% 이상을 유지한다.
    • 72시간 이내호흡곤란 정도가 NRS(숫자통증척도) 0~10 기준 2단계 이상 감소한다(예: 8→6).
    • 72시간 이내 대상자가 편안한 호흡 양상을 찾고, 1~2시간마다 자세 변경이나 호흡운동을 스스로 시도한다.
    • 72시간 이내 대상자는 호흡운동과 기침법, 이완요법을 중에서 2가지 이상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5. I (중재, Implementation)

  1. 호흡상태 모니터링:
    • 1~2시간 간격으로 SpO₂, 호흡수, 호흡곤란 정도를 사정한다.
    • 비정상적인 호흡음(수포음, 천명음 등) 변화를 주기적으로 청진한다.
  2. 체위 관리:
    • 상체를 45도 이상 세우는 반좌위(Fowler’s position)를 취해, 폐 확장을 촉진하고 호흡곤란을 완화한다.
    • 필요시 침상 모터나 베개 등을 이용해 기좌호흡을 돕는다.
  3. 산소 요법 제공:
    • SpO₂가 92% 이하로 떨어질 경우 처방에 따라 저유량 혹은 고유량 산소(비강 캐뉼라, 마스크 등)를 투여한다.
    • 산소 공급 중 대상자의 반응(호흡곤란 완화 정도, 의식상태 등)을 관찰한다.
  4. 호흡운동 및 기침법 교육:
    • 심호흡 운동(깊게 들이마시고 천천히 내쉬기)과 횡격막 호흡을 지도해 산소화 개선을 돕는다.
    • 필요시 효과적인 기침법을 교육해 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5. 활력징후 및 순환상태 모니터링:
    • 혈압, 맥박, 심박수, 체중(부종 여부 확인)을 정기적으로 확인하여 심부전 진행 상태를 파악한다.
    • 이뇨제나 심장기능 개선제를 복용 중인 경우, 투약 효과 및 부작용(전해질 불균형, 신기능 변화 등)을 관찰한다.
  6. 정신적 안위 제공:
    • 호흡곤란으로 인해 불안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대상자에게 이완요법(음악, 명상 등)을 제공하고 안심시킨다.
    • 환자와 보호자에게 질병 상태와 중재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여 협조를 구한다.

6. E (평가, Evaluation)

  • 산소포화도: 계획대로 산소치료 및 체위 변경 후 SpO₂가 92% 이상으로 유지되는지 확인한다.
  • 호흡곤란 호소 정도: NRS 척도에서 호흡곤란 지수가 감소(예: 8→5 이하)했는지 사정한다.
  • 호흡음: 폐 청진 시 수포음이 감소하거나 완화되는지 평가한다.
  • 대상자 만족도: 대상자가 “숨쉬기 편해졌다.”, “가슴이 한결 덜 답답하다.”고 주관적으로 표현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 목표 달성 여부: 단기·장기목표가 달성되었는지, 추가 중재나 재평가가 필요한지 판단하고 계획을 재수립한다.

참고

  • 심부전 환자는 폐정체로 인해 가스교환에 장애가 쉽게 발생하므로, 지속적인 산소포화도 모니터링체위 관리, 적절한 약물 치료 등이 매우 중요합니다.
  • 증상이 악화될 경우(SpO₂가 급격히 하락하거나 호흡곤란이 심해지는 경우) 즉시 의료진에게 알리고, 필요한 추가 처치를 시행해야 합니다.

위 간호과정은 예시이므로, 잘 조정해서 적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