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래는 골절(Fracture) 환자에게 고려해볼 수 있는 주요 간호진단들을 폭넓게 정리한 목록입니다. 실제 적용하실때는 환자의 상태(골절 부위, 중증도, 동반 손상, 나이, 기저 질환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거나 우선순위를 조정하시면 되겠습니다.
1. 통증 및 안위 관련
- 급성 통증(Acute Pain)
- 골절 부위, 조직 손상, 부종, 근육 경련 등에 의해 발생
- 통증 강도와 빈도에 대한 사정, 통증 완화 중재(약물, 비약물요법) 필요
- 불편감(Impaired Comfort)
- 장기간 고정(깁스, 견인 등)이나 부동(immobility)으로 인한 불편감 호소
- 수면 장애, 자세 변경 어려움, 환경적 스트레스 등
2. 신체기능 및 운동성 관련
- 신체 기동성 장애(Impaired Physical Mobility)
- 골절로 인한 통증, 부종, 고정 기구(깁스, 견인 등) 사용으로 자유로운 움직임 제한
- 장기적 부동으로 근 위축, 관절 강직, 혈전 형성 위험 증가
- 자기 돌봄 결핍(Self-Care Deficit)
- 관절이나 사지 기능 제한으로 식사, 위생, 옷입기 등 일상생활 수행 어려움
- 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하거나 보조기구 활용 필요
- 활동 지속성 장애(Activity Intolerance)
- 골절 부위 통증, 체력 저하로 인한 일상활동·운동 지속 어려움
- 단계별 운동 계획 및 재활 프로그램 연계 필요
3. 감염 및 순환/조직 관류 관련
- 감염 위험(Risk for Infection)
- 개방성 골절, 수술 부위, 고정 기구 삽입 시 감염 위험 증가
- 상처 관리, 무균술, 드레싱 교환 등의 간호 중재 필요
- 말초 신경혈관 기능 장애 위험(Risk for Peripheral Neurovascular Dysfunction)
- 부종, 혈액순환 저하, 신경 압박 등에 따른 감각·운동 기능 손상 가능성
- 5P(통증 Pain, 창백 Pallor, 감각이상 Paresthesia, 마비 Paralysis, 맥박 Pulselessness) 사정 필수
- 조직 관류 감소 위험(Risk for Decreased Tissue Perfusion)
- 깁스나 견인에 의한 국소 순환 장애, 부종
- 혈액 응고로 인한 혈전증(DVT) 등 합병증 발생 주의
4. 피부 및 신체조직 손상 관련
- 피부 통합성 장애 위험(Risk for Impaired Skin Integrity)
- 장기간 고정으로 인한 압박, 습기, 마찰 등
- 체위 변경, 깁스나 견인 부위의 피부 상태 정기적 확인 필요
- 체온 불균형 위험(Risk for Imbalanced Body Temperature)
- 감염 발생 시 발열, 수술 후 회복과정에서 체온 변화 가능성
5. 안전 및 심리·사회적 측면
- 낙상 위험(Risk for Falls)
- 골절로 인한 보행 장애, 기동성 제한, 진통제 사용에 따른 어지럼증
- 이동 시 보조기구(워커, 목발 등) 사용 및 환경 정비 필요
- 지식 부족(Deficient Knowledge)
- 골절 부위 관리, 재활 운동, 통증 조절, 식이 등 자가 관리에 대한 정보 부족
- 올바른 깁스 관리, 합병증 징후 파악, 재활 운동 방법 등 교육 필요
- 비효율적 대응(Ineffective Coping) / 불안(Anxiety) / 우울(Risk for Depression)
- 갑작스러운 신체 기능 제한, 통증, 장기간 회복에 따른 심리적 스트레스
- 지지체계 강화, 상담, 정서적 지지 제공
- 신체상 장애(Disturbed Body Image)
- 골절로 인한 외형 변화(부목, 깁스, 수술 흉터 등)나 활동 제한으로 인한 자존감 저하
- 긍정적인 신체 이미지 유지 및 대처 방법 교육
6. 영양 및 대사 관련
- 변비(Constipation)
- 활동 감소, 진통제(특히 마약성 진통제) 사용, 섬유질 섭취 부족 등
- 수분·섬유소 섭취, 배변 패턴 모니터링, 필요시 완하제 사용 교육
- 영양 불균형(불충분/과잉)(Imbalanced Nutrition: Less/More Than Body Requirements)
- 골절 회복을 위한 단백질, 칼슘, 비타민D 등 영양소 필요량 증가
- 식욕 부진 혹은 부동으로 활동량 감소 시 체중 변화 모니터링
7. 순환계 및 기타 합병증 예방 관련
- 심박출량 감소 위험(Risk for Decreased Cardiac Output)
- 장기적 부동 상태, 진통제 부작용, 고령 환자의 기저 심질환
- 활력징후 모니터링, 조기 활동 권장
- 비효율적 호흡양상(Ineffective Breathing Pattern)
- 상지 골절 시는 비교적 적으나, 통증이나 과도한 진통제로 인한 호흡 저하 가능성
- 적절한 진통 관리, 호흡운동 교육
- 수술 전·후 관리(Nursing Diagnoses for Pre/Postoperative Care)
- 수술 전 불안, 수술 후 통증·감염·합병증 예방 등 추가 진단 고려
정리
- 위와 같은 간호진단들은 ‘골절 환자에게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상황에 근거한 예시입니다.
- 실제로는 환자의 개인적 상태(나이, 건강 상태, 골절 부위, 치료 방법, 합병증 여부 등) 에 따라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적용합니다.
- 각 간호진단마다 구체적인 주관적·객관적 자료(S/O 자료) 를 수집하고, 장단기 목표, 중재 방법, 평가 지표 등을 설정해 체계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골절 환자에게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간호진단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이 목록을 참고해 실제 임상상황에서 환자의 개별 요구와 상태에 맞춰 간호과정을 적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간호과정,간호진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과정]'골절'환자의 피부통합성 장애위험 간호과정 (0) | 2025.04.07 |
---|---|
[간호과정]골절(질병)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과정(SOAPIE양식) (0) | 2025.03.28 |
[간호과정]질병(심부전)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간호과정(SOAPIE양식) (2) | 2025.03.17 |
[간호과정]질병(심부전)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간호과정 (1) | 2025.03.08 |
[간호과정]심부전 환자 체액과다 간호과정(SOAPIE 양식) (0)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