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간호진단
피부 통합성 장애 위험 (Risk for Impaired Skin Integrity)
- 관련 요인 (Related Factors):
- 신체적 부동 (Physical immobility): 골절로 인한 활동 제한, 침상 안정
- 기계적 요인 (Mechanical factors): 압력(지속적인 압박), 마찰, 응전력(shearing force) - 석고붕대(cast), 부목(splint), 견인장치(traction) 적용 부위, 침상 내 자세 유지
- 습기 (Moisture): 발한, 실금 (해당하는 경우)
- 감각 지각 변화 (Altered sensation): 신경 손상 또는 부종으로 인한 압력 감지 능력 저하 가능성
- 영양 불균형 위험성 (Risk for imbalanced nutrition): 외상 후 이화작용 증가, 식욕 부진 등으로 인한 단백질 및 비타민 부족 가능성
간호목표 (Expected Outcomes)
-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피부 통합성이 유지된다.
- 단기 목표:
- 대상자는 7일 이내에 피부 손상의 초기 징후(발적, 표피 박리 등)를 보이지 않는다.
- 대상자 및 보호자는 3일 이내에 피부 손상 예방 관리법 3가지 이상을 설명할 수 있다.
-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압력 완화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체위 변경에 협조한다.
간호계획 및 중재 (Nursing Interventions)
1. 진단적 중재 (Diagnostic Interventions)
간호중재 | 이론적 근거 |
1. 매 듀티(duty)마다 전신 피부 상태, 특히 뼈 돌출 부위, 석고붕대/부목/견인장치 주변 및 하방 피부를 시진하고 촉진하여 발적, 창백, 온도 변화, 부종, 수포, 표피 박리 유무를 사정한다. | 피부 손상의 위험 요인을 조기에 파악하고 잠재적 또는 실제적 피부 손상을 발견하기 위함이다. 특히 압력 궤양 호발 부위 및 의료기기 관련 압력 손상(Medical Device-Related Pressure Injury, MDRPI) 발생 가능 부위에 대한 집중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
2. 석고붕대 또는 부목 가장자리가 피부를 자극하거나 과도하게 압박하는지 확인한다. 석고붕대 내부에 이물질이 있는지 확인하고, 대상자의 통증, 작열감, 이상 감각 호소를 주의 깊게 관찰한다 (구획 증후군 등 합병증 가능성 고려). | 석고붕대나 부목은 피부에 직접적인 압력을 가하고 마찰을 일으킬 수 있으며, 부적절하게 적용될 경우 혈액 순환 장애 및 신경 손상, 피부 괴사를 유발할 수 있다. |
3. 견인장치를 적용한 경우, 핀 삽입 부위의 감염 징후(발적, 종창, 통증, 분비물) 및 주변 피부 상태를 정기적으로 사정한다. 견인 추가 피부에 미치는 압력과 마찰을 확인한다. | 핀 삽입 부위는 감염의 통로가 될 수 있으며, 견인 장치 자체도 피부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감염 및 피부 손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중재하기 위함이다. |
4. 대상자의 기동성 수준과 체위 변경 능력을 사정한다. 도움 없이 체위 변경이 가능한지, 도움이 필요한 정도는 어느 정도인지 평가한다. | 대상자의 부동 수준을 파악하여 개별화된 체위 변경 계획을 수립하고 필요한 보조 기구나 인력을 결정하기 위함이다. |
5. 대상자의 영양 상태를 사정한다 (식이 섭취량, 혈청 알부민, 총 단백질 수치 등). | 적절한 영양 공급, 특히 단백질, 비타민 C, 아연 등은 조직 치유와 피부 통합성 유지에 필수적이므로 영양 결핍은 피부 손상 위험을 증가시킨다. |
6. 대상자의 실금 여부를 확인하고, 실금이 있는 경우 피부가 습기에 노출되는 빈도와 정도를 사정한다. | 습기는 피부를 연화시켜(maceration) 마찰과 응전력에 대한 저항력을 약화시키고 미생물 증식을 용이하게 하여 피부 손상 위험을 높인다. |
7. 통증 수준 및 양상을 사정한다. 통증으로 인해 체위 변경을 거부하거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 통증은 대상자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특정 부위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지도록 만들 수 있으며, 이는 압력 궤양 발생의 중요한 위험 요인이 된다. |
2. 치료적 중재 (Therapeutic Interventions)
간호중재 | 이론적 근거 |
1. 최소 2시간마다 체위 변경을 시행하고 필요시 더 자주 변경한다. 뼈 돌출 부위가 직접적으로 압력을 받지 않도록 지지하고, 30도 측위(lateral tilt position) 등을 활용한다. 침대 머리는 가능한 30도 이하로 유지한다. | 체위 변경은 특정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재분배하여 혈류를 개선하고 조직의 허혈성 손상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침대 머리를 높게 유지하면 응전력이 증가하여 천골 부위 손상 위험이 커진다. |
2. 뼈 돌출 부위 및 압력받는 부위에 압력 재분배/완화 보조기구(예: 압력 완화 매트리스, 쿠션, 베개, 발뒤꿈치 보호대)를 적용한다. 도넛 모양의 기구는 피한다. | 압력을 분산시키거나 특정 부위의 압력을 완화하여 조직으로의 혈류를 유지하고 압력 궤양 발생 위험을 감소시킨다. 도넛 모양 기구는 주변부 압력을 증가시켜 부종과 혈류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
3. 피부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실금이나 발한 시 즉시 피부를 부드럽게 닦고 건조시킨 후, 필요한 경우 피부 보호제(skin barrier cream/ointment)를 적용한다. | 습기는 피부의 보호 장벽 기능을 손상시키므로, 청결과 건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피부 보호제는 피부를 습기로부터 보호하고 마찰을 줄여준다. |
4. 마찰과 응전력을 최소화한다. 침대에서 대상자를 이동시키거나 체위를 변경할 때 끌지 않고 들어서 옮긴다(lifting device 사용 고려). 침대 시트는 주름 없이 팽팽하게 유지한다. | 마찰은 피부 표면의 손상을 유발하고, 응전력은 심부 조직의 혈관을 뒤틀리게 하여 조직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최소화하여 피부를 보호한다. |
5. 석고붕대나 부목 가장자리가 거칠 경우 부드러운 패드(예: moleskin)를 덧대어 피부 자극을 예방한다(petaling). 석고붕대 안으로 물건을 넣어 긁지 않도록 교육하고, 가려움증 완화를 위한 다른 방법을 모색한다(예: 냉찜질, 의사 처방 하 항히스타민제). | 석고붕대 가장자리는 피부에 지속적인 마찰과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석고붕대 내부를 긁는 행위는 피부 손상 및 감염의 위험을 높인다. |
6. 처방에 따라 적절한 통증 관리를 제공한다. 통증이 조절되면 대상자는 체위 변경 및 활동에 더 잘 협조할 수 있다. | 통증 완화는 대상자의 안위를 증진시키고 움직임을 촉진하여 부동으로 인한 합병증(피부 손상 포함) 예방에 기여한다. |
7. 영양팀과 협력하여 대상자에게 적절한 영양(고단백, 고비타민 식이)이 공급되도록 격려하고 필요시 영양 보충을 지원한다. 충분한 수분 섭취를 격려한다. | 적절한 영양과 수분 공급은 조직 치유를 촉진하고 피부의 탄력성과 방어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
8. 견인장치 적용 시 피부 견인(skin traction)의 경우 피부에 부착된 테이프나 밴드가 피부를 과도하게 당기거나 주름지게 하지 않는지 확인하고, 골격 견인(skeletal traction)의 경우 핀 삽입 부위 간호를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한다. | 부적절한 견인 적용은 피부 손상, 신경 손상, 혈액 순환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핀 삽입 부위 감염은 골수염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
3. 교육적 중재 (Educational Interventions)
간호중재 | 이론적 근거 |
1.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피부 손상 위험 요인(압력, 마찰, 습기 등)과 예방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 대상자와 보호자가 위험 요인을 인지하고 예방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
2.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피부를 매일 관찰하는 방법(특히 압력받는 부위, 석고붕대/부목 주변)과 피부 손상의 초기 징후(발적, 통증, 수포, 벗겨짐 등)를 교육하고, 이상 발견 시 즉시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 조기 발견과 보고는 신속한 중재를 가능하게 하여 피부 손상이 악화되는 것을 예방한다. |
3. 대상자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체위 변경 방법과 주기를 교육하고, 스스로 할 수 있는 운동(예: 발목 펌프 운동, 침상에서 가능한 범위 내 움직임)을 격려한다. 필요시 보호자에게 체위 변경 보조 방법을 교육한다. | 대상자와 보호자의 참여를 통해 체위 변경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능동적인 움직임은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압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
4. 피부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는 방법, 보습제 및 피부 보호제 사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 올바른 피부 관리 방법을 습득하여 피부의 방어 기능을 강화하고 손상을 예방하도록 돕는다. |
5. 석고붕대나 부목 관리 시 주의사항(젖지 않게 하기, 가장자리 자극 확인, 내부에 이물질 넣지 않기, 이상 감각 발생 시 보고)을 교육한다. | 석고붕대/부목으로 인한 합병증(피부 손상, 순환 장애, 신경 손상 등)을 예방하기 위한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킨다. |
6. 균형 잡힌 영양 섭취(특히 단백질, 비타민)와 충분한 수분 섭취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 영양과 수분이 피부 건강과 치유에 미치는 중요성을 이해시키고 식이 개선을 통해 피부 통합성 유지 및 회복을 돕는다. |
7. 필요시 압력 완화/재분배 보조기구의 목적과 사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 보조기구의 올바른 사용은 압력 궤양 예방 효과를 극대화한다. 대상자와 보호자의 이해와 협조를 구하기 위함이다. |
간호평가 (Evaluation)
- 단기 목표 평가:
- (날짜) 대상자는 피부 사정 결과 발적, 표피 박리 등 새로운 피부 손상 징후가 관찰되지 않았다. (달성/미달성)
- (날짜) 대상자/보호자는 피부 손상 예방 관리법(예: 2시간마다 체위 변경, 뼈 돌출 부위 관찰, 피부 청결 건조 유지) 3가지 이상을 정확하게 설명하였다. (달성/미달성)
- (날짜) 대상자는 체위 변경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의료진의 체위 변경 시 협조적인 태도를 보였다. (달성/미달성)
- 장기 목표 평가:
- 퇴원 시 대상자의 전신 피부를 사정한 결과, 피부 통합성이 유지되었으며 압력 궤양이나 기타 피부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달성/미달성)
- 재평가 및 계획 수정: 목표 달성 여부에 따라 간호 계획을 지속하거나 수정한다. 미달성 시 원인을 분석하고 중재 방법을 변경하거나 추가한다. 예를 들어, 피부 발적이 지속되면 체위 변경 빈도를 늘리거나 다른 종류의 압력 완화 보조기구를 적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간단하게 작성해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간호과정,간호진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과정]골절(질병)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과정(SOAPIE양식) (0) | 2025.03.28 |
---|---|
[간호진단]'골절'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간호진단 모음 (1) | 2025.03.18 |
[간호과정]질병(심부전)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간호과정(SOAPIE양식) (2) | 2025.03.17 |
[간호과정]질병(심부전)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간호과정 (1) | 2025.03.08 |
[간호과정]심부전 환자 체액과다 간호과정(SOAPIE 양식) (0)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