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참고로 OO와 관련된 급성통증에 제목처럼 진단명이 들어가면 절대 안됩니다. 편의상 이렇게 적는거지 절대절대 이렇게 쓰시면 안됩니다! 혹시 몰라서 밑에 손상 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혹은 골절 부위 조직손상과 관련된 급성통증 이런식으로 예시 남겨두었습니다.
1. 사정 (Assessment)
- 주관적 자료(S):
- 환자가 “아파서 움직이기 어렵다”, “통증이 심해 잠을 설치고 있다” 등으로 통증을 호소
- 통증의 위치, 성질(쑤시는, 찌르는, 욱신거리는 등), 강도(NRS 0~10 척도), 지속시간, 악화·완화 요인 확인
- 객관적 자료(O):
- 골절 부위의 부종, 멍, 국소 압통, 변형 여부 관찰
- 활력징후(심박수 증가, 혈압 변화 등) 모니터링
- 통증 척도(NRS, VAS 등)를 이용한 초기 통증 강도 기록
- 환자의 움직임 및 기능 제한 정도 평가
이론적 근거: 통증 사정은 환자 개별의 통증 경험과 생리적 반응을 파악해 효과적인 중재 계획을 수립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2.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 예시 간호진단:
- “골절 부위 조직손상과 관련된 급성 통증”
- 또는 “급성 통증과 관련된 불편감”
근거: 골절로 인한 조직 손상, 부종, 연부 조직 자극 등이 급성 통증을 유발하므로, 이를 근거로 간호진단을 내립니다
3. 계획 (Planning)
- 단기 목표:
- “환자는 5일 이내에 NRS 통증점수를 3점 이하로 유지한다.”
- 장기 목표:
- “환자는 퇴원 시까지 통증이 완화되어 일상생활 활동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근거: 목표 설정은 통증 관리의 효과를 측정하고 간호중재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기준이 됩니다.
4. 중재 (Intervention)
- 약물 중재:
- 의사의 처방에 따라 진통제(예: NSAIDs, 필요 시 마약성 진통제)를 적시에 투여하고, 약물의 효과 및 부작용을 모니터링한다.
- 약물의 작용 메커니즘, 용량, 부작용 등에 대해 환자에게 교육한다.
근거: 적절한 약물 치료는 급성 통증 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환자 개별 상태에 맞춘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 비약물 중재:
- 냉찜질 또는 온찜질 적용(환자 상태에 따라 결정)
- 환자에게 편안한 자세 유지와 적절한 체위 변경을 유도하여 부종과 압통 완화
- 이완 요법, 심호흡, 음악 감상 등 비약물적 통증 완화 기법 적용
- 통증 완화를 위한 환경 조성(조용한 환경, 적절한 온도 및 조명)
근거: 비약물적 중재는 약물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환자의 주관적 통증을 보완적으로 완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교육 및 지원:
- 통증 관리의 중요성과 자가 통증 사정 방법(NRS 사용법 등)을 교육한다.
- 환자 및 가족에게 골절 후 재활, 활동 제한 시 주의사항, 통증 완화 기법 등을 설명하고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5. 평가 (Evaluation)
- 평가 방법:
- 정기적으로 NRS 또는 VAS 등의 통증 척도로 통증 강도 재평가
- 환자가 통증 완화 목표(단기/장기 목표)에 도달했는지 확인
- 약물 및 비약물 중재의 효과, 부작용 발생 여부, 환자 만족도 등을 기록하여 간호 계획 수정
- 환자의 신체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의 변화, 자가 통증 보고 내용 모니터링
근거: 지속적인 평가를 통해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고, 필요시 계획을 수정하는 것은 간호 과정의 핵심 단계입니다.
다음에는 치료적, 진단적, 교육적 간호과정으로 해보겠습니다.
반응형